2024년도 2학기 과학기술학 (CMST304-01) 강의계획서

1. 수업정보

학수번호 CMST304 분반 01 학점 3.00
이수구분 교양선택 강좌유형 강의실 강좌 선수과목
포스테키안 핵심역량
강의시간 월, 수 / 14:00 ~ 15:15 / 무은재기념관 강의실 [303호] 성적취득 구분 G

2. 강의교수 정보

김기흥 이름 김기흥 학과(전공) 인문사회학부
이메일 주소 edinkim@postech.ac.kr Homepage http://hss.postech.ac.kr/
연구실 전화 279-2022
Office Hours 월수목 13:00-14:00; 16:00-17:00

3. 강의목표

본 과목은 과학기술학 분야의 역사적, 사회적 측면의 주요 주제와 문제를 다루게 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은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영향과그 역할을 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과학기술자의 연구활동과사회적 책임성에 대한 사고를 심화시킬 수 있도록 과학기술학 전반의 주요 이론과 현대 사상에 대한 심도 깊은 토론을 진행하게 될 것이다.

4. 강의선수/수강필수사항

선수과목 불필요

5. 성적평가

중간보고서 (서술형): 30%
기말보고서 (서술형): 30%
발표 (각 논의주제 중 하나를 택하여 발표): 30%
출석: 10%

6. 강의교재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 출판년도 ISBN
과학기술학의 세계 한국과학기술학회 휴먼사이언스 2014 978895862725894400
과학학의 이해 데이비드 헤스 당대 2004 8981631182

7. 참고문헌 및 자료

Yearley, Steve (2005) Making Sense of Science: Understanding the SocialStudy of Science (London: Sage)
Bucchi, Massimiano (2002) Science in Society: An Introduction to Social Studies of Science (London: Routledge)
Sismondo, Sergio (2004) An Introduction to Science and TechnologyStudies (Oxford: Blackwell)

8. 강의진도계획

1주: 강의전반소개

2주: 과학기술학의 시작 – 로버트 머튼의 과학사회학
개요: 과학기술학 분야를 개척한 사회학자인 로버트 머튼의 과학사회학적 이론에 대한 이해를 통해 과학기술학의 역할과 학문적 특이성에 대해서 논의한다.
참고문헌: Merton, Robert K. (1973) ‘The Normative Structure of Science’ inRobert K. Merton, The Sociology of Science (Chicago: University ofChicago Press): 267-278

3주: 과학지식은 점진적 발전과정인가? 아니면 혁명적 단절인가?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
개요: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가 학계에 미친 영향에 대한 이해
과학은 단선적이고 점진적인 발전과정인가? 아니면 혁명적이고 단절적인 것인가에 대한 논의
참고문헌: Kuhn, Thomas S. (1962)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Chicago:University of Chicago Press)

4주: 과학지식은 절대적인가? – 과학지식사회학의 스트롱 프로그램
개요:
(1) 영국 에딘버러의 스트롱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2) 과학에 대한 사회적 접근법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3) 상대주의적 과학관은 무엇인가?
Barnes, Barry & Bloor (1982) ‘Relativism, rationalism and the sociologyof knowledge’ in Martin Hollis and Steven Lukes (eds) Rationality andRelativism (Cambridge, MA: MIT Press): 21-47Bloor, David (1991) Knowledge and Social Imagery 2nd edition (Chicago: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aps 1-3, Conclusion & Afterward

5주: 과학은 사회의 구성물인가? –과학의 사회적 구성
개요: 과학은 사회적 구성물인가? 아니면 그 자체로 독립적인 완결성을 갖는 분야인가?
참고문헌: Shapin, Steven & Schaffer, Simon (1985) Leviathan and the Air-Pump:Hobbes, Boyle and the Experimental Lif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Press)

6주: 물질과 인간의 결합으로서 과학행위 –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개요:
(1) 인간과 비인간의 대칭성이 가능한가?
(2) 테크노사이언스 개념에 대한 이해
(3) 과학은 끊임없는 네트워크의 이합집산을 통해 형성되는 과정으로 이해된다
참고문헌: Latour, Bruno (1987) Science in Action (Cambridge MA: Havard UniversityPress): Introduction, chaps 1, 2 & 6.

7주: 암묵적 지식의 전달: 실험실 연구
개요:
(1) 실험실은 단순한 자연의 복제인가? 아니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환경인가?
(2) 실험실 공간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현상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참고문헌: Latour, Bruno & Woolgar, Steve (1986) Laboratory Life: The Constructionof Scientific Facts, 2nd editio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8주: 기술과 사회 – 기술의 사회적 구성론
개요:
(1) 기술은 그 자체로 합리성을 지닌 완결적 과정인가? 아니면 사회적 체계와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과정인가?
(2) 기술의 사회구성론 (SCOT)에 대한 이해
참고문헌:
Pinch, Trevor & Bijker, Wiebe (1984) ‘The social construction of factsand artefacts: or how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the sociology oftechnology might benefit each other’ Social Studies of Science 14 (3):339-441

9주: 페미니스트 과학은 가능한가?
개요: 과학은 젠더중립적인가? 아니면 과학적 행위와 개념은 모두 젠더 차이가 이미 체화된 형태인가?
참고문헌: Keller, Evelyn Fox (1987) ‘The gender/science system: or is sex togender as nature is to science?’ in Biagioli, The Science StudiesReader: 234-242

10주: 과학은 정치적인가? – 과학의 정치학
개요: (1) 과학과 정치는 전혀 관계없는 독립적 영역인가?
(2) 정치적으로 소외된 과학분야에 대한 복원 - 언던 사이언스 (Undone Science) 에 대한 이해
참고문헌: Scott, P, Richards, E., & Martin, B. (1990) ‘Captives of controversy;the myth of the neutral social research in contemporary scientificcontroversies’ Science, Technology and Human Values 15: 474-494Foucault, Michel (1991) Discipline and Punish: 3-31

11주: 과학은 보편적인가? 비서구과학, 탈식민주의과학
개요:
(1) 비서구 사회에서 맥락적 과학기술은 가능한가?
(2) 탈식민과학의 확장가능성에 대한 이해 (Decolonialization) - 지역적 정치적 탈식민화를 넘어 자연-인간 관계의 탈식민화 가능성
참고문헌:
Anderson, Warwick (2002) ‘Introduction: Special issue on postcolonialtechnoscience’ Social Studies of Science 32: 5-6.

12주: 전문가와 대중의 관계: 과학의 대중적 이해
개요: (1) 과학의 대중적 이해 (Public uniderstanding of Science)에 대한 이해
(2) 일반 전문가 (Lay experts) 개념의 형성
참고문헌: Wynne, Brian (1996) ‘May the sheep safely graze? A reflexive view ofthe expert-lay knowledge divide’ in S. Lash, B Szerszynski & B. Wynne(eds) Risk, Environment and Modernity (London: Sage): 44-83

13주: 인류세의 과학
개요: (1) 인간의 자연에 대한 극단적 개입으로 인한 전지구적 위기의 문제
(2) 인류세 개념의 형성과 인류세 과학의 가능성
참고문헌: 클라이브 해밀턴 (2018) 인류세 (이상북스)

9. 수업운영

10. 학습법 소개 및 기타사항

강의와 발표를 중심으로 운영한다

11. 장애학생에 대한 학습지원 사항

- 수강 관련: 문자 통역(청각), 교과목 보조(발달), 노트필기(전 유형) 등

- 시험 관련: 시험시간 연장(필요시 전 유형), 시험지 확대 복사(시각) 등

- 기타 추가 요청사항 발생 시 장애학생지원센터(279-2434)로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