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1학기 인문과예술의세계 (HASS201-03) 강의계획서

1. 수업정보

학수번호 HASS201 분반 03 학점 3.00
이수구분 교양필수 강좌유형 강의실 강좌 선수과목
포스테키안 핵심역량
강의시간 월, 수 / 17:00 ~ 18:15 / 무은재기념관 강의실 [308호] 성적취득 구분 G

2. 강의교수 정보

이충형 이름 이충형 학과(전공) 인문사회학부
이메일 주소 chung@postech.ac.kr Homepage
연구실 무은재 418 전화 054-279-2025
Office Hours 수업 전후 혹은 이메일을 통해 사전에 면담을 요청하기 바라며, 이때 서로 시간을 조율할 수 있다. 단, 온라인 수업 기간 중엔 각 담당교수가 별도 공지한 시간에 화상 채팅을 통해 면담할 수 있다.

3. 강의목표

▪ 본 강좌는 문학·예술·철학의 학제간 기본교과로서, 문학·예술·철학에서 제기되는 근본적인 질문을 통해 인문학과 자신의 삶 그리고 학문 세계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인간과 세계에 대한 통찰력과 비판적 사고력, 인문학적 상상력을 함양할 수 있다.

4. 강의선수/수강필수사항

1) 철학 분야 - 수업 읽기 자료를 읽고, PLMS에 올라온 질문에 답을 작성한다.
▪ 과제분량 : 공백 제외하고 총 2000자 내외 (대략 A4 용지 두 페이지)
▪ 제출기한 : 3월 20일(목) 자정
▪ 제출방법 : “PLMS 철학과제”를 통해 제출 / 파일명을 반드시 '본인 이름'으로 지정

2) 문학 분야 -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나는 어떻게 지금의 내가 되었는가?”, “나는 누구의 삶을 살고 있는가?”, “나는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한 편의
에세이를 작성한다.
▪ 과제분량 : A4 용지 두 페이지 내외(아래한글 기준, 글자크기 10pt, 줄간격 160%)
첫째 줄 제목, 둘째 줄 학과 학번 이름, 셋째 줄부터 본문
▪ 제출기한 : 4.19(토) 제출 (7강 수업 직전 토요일까지 제출)
▪ 제출방법 : 파일을 ‘PLMS-과제란’에 탑재, 파일명을 반드시 ‘본인 이름–에세이 제목’으로 지정

3) 예술 분야 - 미술 전시 감상문 제출. 포항시립미술관(www.poma.kr)의 전시, 혹은 부산현대미술관(www.busan.go.kr/moca)의 백남준 특별전을 작가에 대한 리서치를 한 후, 작가가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이를 위해 선택한 매체와의 관계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서술한다. 필자의 견해를 서술할 때는 전시작품 중 2-3점을 선별하여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주의할 점은 백남준 전시가 3월 16일에 폐막하므로, 이 전시를 보고자 하는 경우, 미리 계획을 세워야 한다. 전시를 관람할 때는 반드시 도슨트 (전시 설명 전문가) 투어 일정을 확인하여 참여하도록 하고, 팜플렛 혹은 입장권에 도슨트의 서명과 관람자 이름을 적어 사진을 찍고, 전시장과 본인의 얼굴이 잘 보이는 “인증샷”을 찍어 제출해야 한다. 주어진 전시 이외 다른 전시를 주제로 선택하고자 할 경우, 담당 교수에게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과거에 방문했던 전시는 주제로 선택할 수 없고, 반드시 과제를 염두에 두고 새롭게 관람한 전시에 대해서 글을 써야 한다.
▪ 과제분량 :A4 용지 두 페이지 (아래한글 기준, 글자크기 10pt, 줄간격 160%, 제목 및 이름 등은 분량에 포함되지 않음.)
▪ 제출기한 : 5.25(일) 23시59분. 연장 제출 불가능.
▪ 제출방법 : 감상문은 문서 파일로 PLMS의 ‘감상문 게시판’/ 증빙은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증빙 게시판’/ 보고서에 작품 이미지를 첨부할 경우, 이미지는 따로 만들어 ‘이미지 게시판’에 제출

5. 성적평가

▪ 출석 9% - (결석 1회당 1점 감점, 지각 1회당 0.5점 감점, 총 수업 시간의 1/4을 초과해 결석하는 경우, 학사운영지침에 의해 자동 F)
- “출석만 처리하고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행위”는 학칙상 에 규정된 학습부정행위로 이로 인해 F의 성적이 부여될 수 있고, 학교에서 징계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출석방법 - 매 수업 오후 5시 5분 전까지 규정된 방식(포비스 전자 출결 앱_Beacon 휴대전화 블루투스)으로 출석 체크를 마쳐야 합니다.

▪ 수행(토론 및 수업 참여) 6% - 분야별 수행 2%×3=6%
▪ 과제 45% - 분야별 개별과제 15%×3=45%
▪ 기말고사 40% - 세 분야의 담당교수가 각 13.33%에 해당되는 문제를 출제하고 각 문제에 대해 서술식 답안을 작성하도록 함(불참시 F)

6. 강의교재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 출판년도 ISBN

7. 참고문헌 및 자료

8. 강의진도계획

1주 Introduction : 수업 소개

▪ 철학 분야
2.19(수) 1강 : 옳고 그름과 논리적 사고
2.24(월) 2강 : 도덕 상대주의
2.26(수) 3강 : 주관주의, 객관주의, 윤리적 갈등
3.05(수) 4강 : 윤리적 이기주의
3.10(월) 5강 : 공리주의
3.12(수) 6강 : 인간의 미덕
3.17(월) 7강 : 스토아 철학
3.19(수) 8강 : 지혜로운 삶을 위한 구체적 실천 방안

▪ 문학 분야
3.24(월) 1강 : 문학은 왜, 어떻게 존재하는가?
3.26(수) 2강 :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어떤 의미를 지니며, 왜 중요한가?
3.31(월) 3강 : 나는 어떻게 지금의 내가 되었는가? - 조지 오웰, 「1984」
4.02(수) 4강 : 나는 누구의 삶을 살고 있는가?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4.14(월) 5강 : 나는 어떻게 살 것인가? (1) - ‘악의 평범성’과 ‘무사유’
4.16(수) 6강 : 나는 어떻게 살 것인가? (2) - ‘권위에 대한 복종’과 ‘자유’
4.21(월) 7강 : 인간의 주체적인 삶은 어떻게 가능한가?
4.23(수) 8강 : 휴강, 외부인사 초청 특강 대체(3월 21일15-17시, 김주형 교수[서울대 정치외교학과])

▪ 예술 분야
4.28(월) 1강 : 미술이란 무엇인가? What is Art?
4.30(수) 2강 : 조형 – 기하학 – 추상화 Design – Geometry – Abstraction
5.07(수) 3강 : 생산자로서의 미술가 Artist as Producer
5.12(월) 4강 : 아방가르드 예술 Avant-Garde Art
5.14(수) 5강 : 미래의 예언자 백남준과 미디어 아트
5.19(월) 6강 : 팝아트와 소비사회 Pop Art and Consumer Society
5.21(수) 7강 : 표현의 자유 vs. 공공의 이익 Freedom of Expression vs. Public Good
5.26(월) 8강 : 현대미술 키워드 Keywords of Contemporary Art

▪ 특강
3.21(금) : “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한 시민의 역할” 연사 : 김주형 교수(서울대 정치외교학과)
5.28(수) : 전체 공동 수업

■ 수업제외일수
▪ 3.3 월 삼일절 대체공휴일
▪ 4.7 월~4.9 수 중간고사
▪ 5.5 월 부처님오신날, 어린이날

▪ 기말고사 실시 : 6월 2일 월 (오후 2시 ~ 3시 15분)

9. 수업운영

▪ 본 강좌는 문학·예술·철학 분야 담당교수 3인의 팀티칭으로 운영되는 통합과목으로, 한 학기 수업은 분야별 담당교수의 강의, 학생 간 토론, 특강 등으로 운영된다.

10. 학습법 소개 및 기타사항

▪ 본 교과목의 수강 과정에서 학습윤리에 어긋나는 행위를 한 경우 F학점으로 처리됨은 물론, 학칙상의 엄격한 처벌이 따르게 된다. 특히, 모든 조별·개별 과제에 대해서는 ‘PLMS-표절관리시스템’을 통해 표절 여부 및 표절 정도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엄격하게 판단할 것이다. 따라서 본 교과목의 모든 수강생은 ‘PLMS-학습자료실’에서 'POSTECHIAN의 학습윤리 실천안내서'의 내용을 반드시 준수하되, 과제 작성 시 올바른 출처 및 인용 표시에 대해서는 '학습윤리 실천안내서' 의 해당 내용을 참고하도록 한다.

11. 장애학생에 대한 학습지원 사항

- 수강 관련: 문자 통역(청각), 교과목 보조(발달), 노트필기(전 유형) 등

- 시험 관련: 시험시간 연장(필요시 전 유형), 시험지 확대 복사(시각) 등

- 기타 추가 요청사항 발생 시 장애학생지원센터(279-2434)로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