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1학기 학과입문(반도체공학) (SEMI100-01) 강의계획서

1. 수업정보

학수번호 SEMI100 분반 01 학점 1.00
이수구분 기초선택 강좌유형 강의실 강좌 선수과목
포스테키안 핵심역량
강의시간 목 / 17:00 ~ 17:50 / 제2공학관 강의실 [102호] 성적취득 구분 PASS/No Record

2. 강의교수 정보

강대환 이름 강대환 학과(전공) 반도체공학과
이메일 주소 daehwankang@postech.ac.kr Homepage
연구실 전화 054-279-8075
Office Hours

3. 강의목표

- 교과목 개요: 반도체를 구성하는 소재, 소자의 특징과 함께, 발전 역사를 이해한다. 메모리 반도체, 로직 반도체, 인공지능 반도체의 원리와 종류를 학습하고, 미래 기술인 이차원 나노반도체, 양자컴퓨터의 원리와 종류를 이해한다. 이러한 반도체의 시스템화에 필요한 아날로그 설계, VLSI 시스템 설계, 차세대 컴퓨팅 아키텍쳐 설계 원리를 배우고, 다양한 반도체를 소자 및 시스템 구현에 활용되는 전공정, 후공정, 패키징, 성능평가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반도체 산업생태계를 구성하는 국내외 종합반도체기업, 팹리스, 파운드리, OSAT 등의 현황과 상호관계를 파악하여, 글로벌 반도체 기술과 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이해한다.
- 교육 목표: 반도체 개발 역사, 소재, 소자, 설계, 공정, 성능평가에 대한 통합적 이해로 심화 전공 학습에 활용하도록 한다.

4. 강의선수/수강필수사항

-없음

5. 성적평가

- 평가방법: 출석(50%), 기말고사(50%)

6. 강의교재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 출판년도 ISBN

7. 참고문헌 및 자료

- 강의시간에 참고문헌 제공

8. 강의진도계획

1주차 (2/20) ‘반도체’ 정의: 반도체 물성, 소자 종류 및 학문/공학적 발전과정
2주차 (2/27) 반도체를 이용한 회로 설계의 원리
3주차 (3/6) 옹스트롬 시대의 로직 소자 기술
4주차 (3/13) 전력반도체 회로 설계의 기초
5주차 (3/20) 반도체 후공정 (BEOL) 및 패키징 소개, 현재와 미래
6주차 (3/27) 저차원 물질을 이용한 차세대 소자
7주차 (4/3) 인공지능 연산을 위한 반도체 기술
8주차 (4/10) 저전력 고효율 반도체 구현을 위한 산화물 반도체 신소재
9주차 (4/17) 고속 반도체 회로설계, 현재와 미래
10주차 (4/24)
11주차 (5/1) 뉴로모픽 반도체 개론
12주차 (5/15) 2차원 반도체 소재 및 소자
13주차 (5/15)
14주차 (5/22) 반도체 수광소자와 이미지센서
15주차 (5/29)
16주차 (6/5) 기말고사

9. 수업운영

- 강의유형(오프라인)

10. 학습법 소개 및 기타사항

-없음

11. 장애학생에 대한 학습지원 사항

- 수강 관련: 문자 통역(청각), 교과목 보조(발달), 노트필기(전 유형) 등

- 시험 관련: 시험시간 연장(필요시 전 유형), 시험지 확대 복사(시각) 등

- 기타 추가 요청사항 발생 시 장애학생지원센터(279-2434)로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