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강의목표
노벨생리의학상 혹은 화학상 (생명과학분야)을 수상한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실제 연구 사례에 대한 분석 및 연구 자세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학문 탐구의 의미와 새로운 발견이 주는 희열감을 전달하고 궁극적으로 학생 스스로 창의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생명과학자로서의 자질을 습득케 함을 강의의 목표로 한다.
5. 성적평가
중간 고사 30%
기말고사 30%
발표 30%
출석 및 수업참여도 10%
7. 참고문헌 및 자료
노벨생리의학상 혹은 화학상 (생명과학분야)을 수상한 연구 분야의 original research 논문
8. 강의진도계획
2월 18일 Intro
2월 20일 2012 노벨화학상 (GPCR)
2월 25일 2013 노벨생리의학상 (Membrane and organelle)
2월 27일 2019 노벨생리의학상 (Hypoxia)
3월 4일 2020 노벨생리의학상 (C형 간염 바이러스)
3월 6일 2020 노벨화학상 (CRISPR)
3월 11일 2022 노벨화학상 (Click chemistry & glycosylation)
3월 13일 2023 노벨생리의학상 (mRNA vaccine)
3월 18일 2024 노벨화학상 (AI - Alphafold)
3월 20일 학생발표
3월 25일 2006년 노벨생리의학상 (RNAi)
3월 27일 2024년 노벨생리의학상 (miRNA)
4월 1일 2012년 노벨생리의학상 (iPS cell)
4월 3일 2018년 노벨생리의학상 (Cancer immunotherapy)
4월 8일 중간고사 (일정 추후 변경 가능)
4월 15일 1975년 노벨생리의학상 (RNA tumor virus)
4월 17일 1978년 노벨생리의학상 (제한효소)
4월 22일 1987년 노벨생리의학상 (antibody diversity)
4월 24일 1993년 노벨생리의학상 (Split gene)
4월 29일 1997년 노벨생리의학상 (Prion)
5월 1일 2002년 노벨생리의학상 (Apoptosis)
5월 6일 2001년 노벨생리의학상 (Cell division)
5월 8일 2016년 노벨생리의학상 (autophagy)
5월 13일 학생발표
5월 15일 2009년 노벨생리의학상 (Telomere)
5월 20일 2007년 노벨생리의학상 (mouse gene KO)
5월 22일 2011년 노벨생리의학상 (TLR and DC)
5월 27일 1989년, 2015년 노벨화학상 (Ribozyme, DNA repair)
5월 29일 학생발표
6월3일 기말고사 (일정 추후 변경 가능)
9. 수업운영
1) 지난 50 여 년간 노벨 생리의학상이나 화학상의 수상을 가능하게 하였던 초기 논문들을 생명과학의 각 세부 분야별로 선정
(2) 발견이 이루어지기 이전 학계의 동향이나, 서로 의견을 달리하고 있던 학설들, 그리고 그 시대가 안고 있던 기술적인 문제점 등에 관해서 강의
(3) 초기 발표 논문에 대한 강의 및 토론
생명과학계에 이정표가 된 발견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토론함으로서 학생들에게 실제 발견이 이루어졌던 순간을 re-visit 하고 그 발견이 주는 중요성/의미를 깨닫게 하는 형태로 수업을 진행하고자 함.
10. 학습법 소개 및 기타사항
활발한 질의/응답 및 토론이 요구되는 수업임.
11. 장애학생에 대한 학습지원 사항
- 수강 관련: 문자 통역(청각), 교과목 보조(발달), 노트필기(전 유형) 등
- 시험 관련: 시험시간 연장(필요시 전 유형), 시험지 확대 복사(시각) 등
- 기타 추가 요청사항 발생 시 장애학생지원센터(279-2434)로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