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강의목표
(1)경제학자처럼 사고하는 법(The Way of Economic Thinking)을 익힌다.
(2)시장 경제의 작동원리(How to work)를 이해한다
(3)시장 경제의 실패(Market Failure)를 이해한다.
(4) 경제학자들이나 정부관료들에게 속지 않는 법을 배운다.
5. 성적평가
중간 시험 50 + 기말 시험 50
출석 점수는 따로 없으며 대신 4회 이상 불참시 F 처리. (공결 제외).
6. 강의교재
도서명 |
저자명 |
출판사 |
출판년도 |
ISBN |
크루그먼의 경제학 (6판)
|
폴 크루그먼
|
시그마프레스
|
2024
|
|
7. 참고문헌 및 자료
1. 폴 크루그먼 저, 안진환 역, 2015. 불황의 경제학. 서울: 세종서적.**
2. 폴 크루그먼 저, 박세연 역, 2013. 지금 당장 이 불황을 끝내라! 서울: 엘도라도**.
3. 실비아 나사르 저, 김정아 역, 2013. 사람을 위한 경제학. 서울: 반비.*
4. 대니 로드릭 저, 이강국 역, 2016. 그래도 경제학이다. 파주: 생각의 힘.***
5. 와이트 저, 안진환 역, 2009. 애덤 스미스 구하기. 서울: 생각의 나무.*
6. 최정규 저, 2005. 이타적 인간의 출현. 서울: 뿌리와이파리.*
7. 로버트 하일브로너 저, 장상환 역, 2012. 세속의 철학자들. 서울: 이마고.**
8. 로버트 하일브로너 및 윌리엄 밀버그 저, 홍기빈 역, 2010. 자본주의. 서울: 미지북스.**
(*는 난이도 표시)
8. 강의진도계획
1 경제학의 제1원리 및 경제 모형 -경제학적 추론 방식 (economic way of reasoning)
2 공급과 수요 -시장모델의 토대 (the foundation of market model), 시장의 반격 -정부 실패 (government failure)
3 탄력성 –조세귀착의 원리 (the principle of tax incidence)
4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 –거래이득 (gains from trade)
5 공급곡선의 이면: 투입과 비용 –생산의 기술적 속성 (technological property of production)
6 완전경쟁 시장구조 –파라미터 조정 메커니즘 (parametric coordination mechanism)
7 중간시험
8 독점 시장구조 –하버거의 삼각형 (Harberger’s Trinale)
9 과점 시장구조 –전략적 상호작용 (strategic interaction)
10 독점적 경쟁 시장구조 -제품 차별화 (product differenciation)
11 외부효과 –시장실패 I (market failure I)
12 공공재, 공유자원, 인위적 희소자원 -시장실패 II (market failure II)
13 거시 집계변수(aggregate variables), 소득지출 모형(income expenditure model)
14 총수요 총공급 모형 (aggregate demand and aggregate supply model)
15 기말시험
10. 학습법 소개 및 기타사항
(1)예습보다는 예습을 권장함, 강의 이전 예상되는 부분을 읽고 들어올 것, 강의는 예습을 가정하고 이루어짐
(2)채점과 관련한 실수 이외 그 어떤 점수 변경도 용인되지 않음. 고학년 학생 및 학점 관리가 필요한 학생, 외국인 학생은 수강 여부를 신중히 고려할 것.
(3)부교재는 특별히 강의하지 않으며 스스로 읽어보기를 권한다.
(4)시의 적절한 주제나 강조할 필요가 있는 주제의 경우 진도에 구애받지 않고 특강을 할 수 있다.
(5)종강일까지 Analytical Essay (2인 1조, 2쪽 이내)를 제출한다. 에세이는 특정한 경험이나 현상을 대상으로 강의시간에 다루었던 모델과 개념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소재 선정 혹은 아이디어의 독창성과 논증과정의 엄밀성, 도출 결론의 파격성이 중요한 평가 기준이다. A4 용지 앞면으로 타이핑 작성하며 표지는 붙이지 아니한다.
11. 장애학생에 대한 학습지원 사항
- 수강 관련: 문자 통역(청각), 교과목 보조(발달), 노트필기(전 유형) 등
- 시험 관련: 시험시간 연장(필요시 전 유형), 시험지 확대 복사(시각) 등
- 기타 추가 요청사항 발생 시 장애학생지원센터(279-2434)로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