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강의목표
● 문화의 모든 분야에서 시각화의 경향이 두드러지는 현대 사회에서는 이미지와 영상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능력, 즉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가 문자 해독 능력과 마찬가지로 필수적이다.
● 따라서 본 과목의 강의에서는 미적 대상이 아니라 소통의 매체로서 인류가 만들어낸 이미지의 역사를 개괄하고, 이와 동반한 윤리, 정치, 사회, 경제적 이슈들을 살펴보며, 현대 사회와 문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도모한다. 또한 인간이 이미지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세계를 구성하며, 사회적 관계와 권력을 시각화해온 방식을 폭넓게 탐구한다.
● 이를 통해 선사시대의 상징부터 현대 디지털 기술 기반 예술에 이르기까지, 시각예술이 시대의 감수성, 정치적 맥락, 정체성, 환경, 기술 등의 이슈와 어떻게 얽혀왔는지를 통합적으로 조망한다.
● 전통적인 미술사 서사를 넘어서 젠더, 식민주의, 생태 위기, 기술 발전 등 동시대의 다양한 논점을 포괄하며, 비주얼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 나아가 다양한 과제를 통해 ‘보는 방식’을 훈련하고, 글쓰기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를 ‘문자적 텍스트’로 전환하는 연습을 할 것이다.
● 우리의 일상에서 끝없이 마주치는 시각적 자극을 분석하고 이해하며 해석할 수 있는 ‘비판적 이미지 해독 능력’과 더불어 지식을 전달하고, 의견을 표출하며,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명료한 글쓰기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본 과목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5. 성적평가
1. 출석 및 참여 10%
① 출석 이외에 다른 학생들의 과제를 함께 평가하고 논의하는 참여가 중요합니다.
② 기말고사 결시할 경우 기타 과제 성적과 무관하게 F가 부여됩니다.
2. 시험 20%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미술사 지필 고사. 세부 안내는 추후 고지. 상황에 따라 평가 방식에 변동이 있을 수 있음.
3. 과제 70%
7. 참고문헌 및 자료
PLMS 학습자료실의 수업자료
실반 바넷 저, 김리나 역, 미술품 분석과 서술의 기초 (시공사, 2006).
필립 예나윈 저, 한국미술연구소 역, 현대 미술 감상의 길잡이 (시공사, 2004).
존 버거 저, 최민 역, 다른 방식으로 보기 (열화당, 2012).
수전 손택 저, 이재원 역, 사진에 관하여 (이후, 2005).
Paul Zelanski and Mary Pat Fisher, The Art of Seeing (London: Prentice Hall, 2011).
Andrei Pop, How to Do Thing with Pictures: A Guide to Writing in Art History (Department of History of Art and Architecture, Harvard University, 2008), pdf.
Amrita Sturken and Lisa Cartwright, Practices of Looking: An Introduction to Visual Cultur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Nicholas Mirzoeff, How To See The World: An Introduction to Images, From Self-Portraits to Selfies, Maps to Movies, and More (New York: Basic Books, 2016).
Amy E. Herman, Visual Intelligence Sharpen Your Perception, Change Your Life (Boston: An Eamon Dolan Book, 2016).
Molly Bang, Picture This: How Pictures Work (San Francisco: Chronicle Books, 2016 [1991]).
www.smarthistory.org
8. 강의진도계획
주차
대주제
소주제 및 강의 내용
1. 비주얼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1) 강의 소개 및 참고 자료 안내
존 버거 (다른 방식으로 보기), 수전 손택 (사진에 관하여), 마셜 맥루한 (미디어의 이해),
2. 조형 요소의 이해
2) 선, 형태, 표면
3) 질감, 색, 구도
4) 공간, 명암
5) 시각적 인지와 게슈탈트 원리
6) 미술품의 형식 분석 연습
과제 1) 주어진 이미지를 묘사하는 글을 써본다.
학습목표: 조형 요소인 선, 형태, 질감, 색, 공간, 명암 등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시각적 인지 및 게슈탈트 원리를 통해 미술 작품을 해석하는 방법을 익힌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작품을 형식적으로 분석하는 기초 연습을 수행한다.
3. 정체성의 시각화: 초상화의 역사
7) 망자에 대한 기억과 사회적 계층 질서
8)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의 후원자들
9) 이상적 인간형을 찾아서
10) 개인의 탄생
11) 디지털 시대의 정체성 표현
12) 현대 한국 사진 속 군상
학습목표: 초상화를 통해 시대별로 정체성이 어떻게 시각화되어 왔는지를 이해한다. 고대부터 디지털 시대까지 초상화가 기억, 권력, 이상적 인간상, 개인성과 같은 주제를 어떻게 반영했는지를 살펴보고, 현대 한국 사진 속 집단 정체성 표현에도 주목한다.
4. 자아의 시각화:
자화상의 역사
13) 유럽 최초의 자화상: 장 푸케, 얀 판 아이크, 알브레히트 뒤러
14) 미술가의 불안한 내면: 히에로니무스 보쉬, 윤두서, 강세황, 렘브란트
15) 여성 화가의 자기 인식: 카테리나 판 에메센, 소포니스바 앙귀솔라, 아르테미지아 겐틸레스키
16) 직업인으로서의 자기 인식: 로지에르 판 데어 바이덴, 클라라 피터스, 피터 클래즈, 벨라스케즈, 구스타프 쿠르베
17) 화가와 엄마 사이: 엘리자베스 비제 르브룅, 매리 캐싯, 베르트 모리조, 파울라 모더존 베커
18) 암울한 천재들의 자화상: 미켈란젤로, 카라바조, 빈센트 반고흐, 에곤 쉴레
19) 프리다 칼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생 만세’
과제 2) SNS 속 자신의 프로필 이미지를 분석한다.
학습목표: 자화상을 통해 예술가들이 자아를 어떻게 인식하고 표현해왔는지를 시대별, 문화별로 탐구한다. 자화상이 내면의 심리, 정체성, 젠더, 직업의식, 예술가의 고통과 회복 등을 드러내는 창으로 작용했음을 이해하고, 다양한 자화상 사례를 통해 자기표현의 방식들을 분석한다.
5. 권력과 권위의 이미지
20) 신이 머무는 곳: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지구라트와 신전 출토 유물
21) 역사는 승자의 것: 나람신의 승전 기념비, 나메르왕의 팔레트, 아카드왕의 청동 두상, 페르세폴리스의 라마수
22) 왕이 될 상: 구데아의 좌상, 함무라비 법전, 아슈르나시르팔의 사자사냥
23) 인간에서 신으로: 피라미드와 병마용
24) 공간이 된 권력: 페르세폴리스의 아파다나
과제 3) 권력 혹은 권위를 표상하는 이미지를 찾아 해당 권력/권위 자원을 특정하여 분석한다.
학습목표: 고대 문명의 예술 작품과 건축을 통해 권력과 권위가 어떻게 시각적으로 구성되고 전달되었는지를 이해한다. 신성성, 승리, 법, 왕권, 공간 등의 다양한 권력 자원이 이미지로 구현된 방식을 분석하며, 시각적 수단이 정치적 메시지를 어떻게 형상화했는지 탐구한다.
6. 신의 형상
25) 근동에서 발생한 세 종교: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26) 초기 기독교의 상징들: 숫자, 문자, 구약의 상징
27) 신의 형상: 예수의 삶과 수난의 도상학
28) 아포칼립스: 종말과 최후의 심판
29) 불교 미술의 상징과 기원 1: 육도 윤회도
30) 불교 미술의 상징과 기원 2: 석가모니의 전생과 현생
31) 불교 미술의 상징과 기원 3: 탑과 불상의 기원과 전개
학습목표: 세계 주요 종교들이 신성함을 어떻게 시각적으로 형상화했는지를 탐구한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상징 체계와 기독교 도상학, 불교 미술의 상징과 기원을 중심으로 종교적 신념이 예술로 표현되는 방식을 이해하고, 종교 미술의 문화적 다양성과 공통된 시각 언어를 파악한다.
7. 대중문화와 상품사회의 미술
32) 브리티시 팝: 광고와 소비문화의 탄생
33) 앤디 워홀과 친구들: 대량생산과 대량 소비의 미덕
34) 일본의 네오팝: 상품과 예술 사이
35) 대중 문화의 영웅과 반영웅: 히어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36)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의 힘
학습목표: 20세기 중반 이후 대중문화와 소비사회의 발전 속에서 미술이 어떻게 변화하고 대응했는지를 이해한다. 팝아트와 네오팝을 중심으로 예술과 광고, 브랜드, 스타 이미지가 교차하는 방식과, 대중 영웅의 시각적 재현이 현대 사회에서 갖는 의미를 탐구한다.
8. 이미지의 진실
혹은 거짓
37) 리얼리즘과 리얼리티: 프랑스 사실주의 미술의 태동
38) 사진의 등장과 포토 리얼리즘:
39) 역사를 바꾼 사진들
40) 타인의 고통: 수전 손택의 사진 비평
41) 사진에서 딥페이크까지
학습목표: 이미지가 진실을 재현하는가, 아니면 조작된 허상을 전달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중심으로, 사실주의 미술에서 사진, 포토리얼리즘, 딥페이크에 이르기까지 이미지와 현실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수전 손택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미지가 고통, 역사, 윤리와 맺는 복합적인 관계를 이해한다.
9. 재현의 정치학
42) 재현의 정치학: 스테레오 타입이란 무엇인가
43) 미술 속 여성들: 예쁘거나 나쁘거나
44) 왜 지금까지 위대한 여성 미술가가 없었는가?
45) 현대 미술과 젠더: 메리 켈리와 신디 셔먼
46) 오리엔탈리즘과 제국주의의 시선
47) 일제 강점기 한국미술의 향토색에 대하여
48) 상상의 공동체: 국기의 탄생
49) 공공미술과 장소특정성: 다윗에서 이순신까지
50) 한국현대미술의 반기념비성
51) 네 번째 좌대: 공동체의 비정형성
52) 재난과 재현불가능성
53) 공공미술의 공공성과 개인의 자유
54) 체험의 미학과 참여의 윤리
학습목표 1: 이미지와 재현이 어떻게 권력, 젠더, 민족, 제국주의의 이데올로기를 형성하고 재생산해왔는지를 탐구한다. 스테레오타입, 젠더 정체성, 식민주의적 시선, 민족성과 같은 주제를 통해 미술이 사회적 차별과 정체성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 비판적으로 이해한다.
학습목표 2: 국기와 기념비, 공공미술과 같은 시각적 형식이 공동체의 정체성, 기억, 이데올로기를 어떻게 형성하고 표현하는지를 이해한다. 반기념비적 태도, 재난 이후의 재현 문제, 체험과 참여를 기반으로 한 현대 미술의 윤리적 고민을 통해, 공공성과 개인의 자유가 충돌하거나 조화를 이루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10. 자연과 인간
56) 인공 혹은 자연: 범주의 오류
57) 판테온에서 원근법까지: 기하학적 세계관
58) 몽유도원도: 꿈 속에 도원을 거닐다
59) 정원의 미학: 베르사유 궁전과 무첨당
60) 픽쳐레스크 – 뷰티풀 – 서브라임
61) 몰입의 기술: 제임스 터렐, 올라퍼 엘리아슨, 팀랩
과제 4) ‘과학’ 혹은 ‘기술’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고정관념 혹은 기대, 개념 등을 잘 드러내는 대중적인 이미지를 선정하여 그 맥락과 의도 등을 분석할 것.
학습목표: 자연과 인간의 관계가 미술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어 왔는지를 고찰하고, 자연을 구성하고 해석하는 문화적‧기술적 틀(기하학, 정원, 원근법 등)에 주목한다. 나아가 현대 미디어 아트를 통해 감각적 몰입과 자연 재현의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탐구하며, 과학과 기술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와 인식도 비평적으로 분석한다.
11. 산업 이후, 도시 재생의 역사
62) 인상주의는 왜 파리에서?
63) 산업유산의 재생과 미술관의 탄생: 빌바오 구겐하임과 테이트 모던 등
64) 쇠락한 도시와 공공미술의 전략
65) 예술가들이 만든 도시: 창작촌과 레지던시
66) 도시 브랜딩과 예술의 딜레마: 재생인가 소비인가
학습목표: 산업화 이후 쇠퇴한 도시들이 예술과 문화의 힘으로 어떻게 재생되어 왔는지를 살펴본다. 인상주의의 도시적 배경부터 산업유산의 미술관화, 공공미술과 창작촌, 도시 브랜딩의 전략까지, 예술이 도시 공간의 정체성과 생명력을 되찾는 데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를 비판적 시각으로 이해한다.
12. 환경, 기후, 및 지속가능성의 미술
67) 풍경에서 생태로: 앤디 골드워시와 김택상의 회화
68) 쓰레기와 재료의 윤리학: 최정화
69) 기후 위기와 행동주의적 예술
70) 지역 공동체와 생태 회복을 위한 예술의 가능성
71) 지속가능한 예술을 위하여
학습목표: 환경과 기후 위기에 대한 예술의 반응을 통해, 자연 재현에서 생태적 감수성으로의 전환을 이해한다. 재료 선택의 윤리, 행동주의적 실천, 지역 공동체와의 협력, 지속가능한 창작 방식 등을 살펴보며 현대 예술이 생태적 전환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한계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13. 기술, 매체의 발전과 미술의 반응
72) 디지털 전환의 미학
73) 인터랙티브 아트의 과거와 미래
74) VR, AR 그리고 확장된 인지와 감각
75) AI 와 창작: 기계는 예술가가 될 수 있는가
76) NFT와 블록체인: 미술 소유와 유통의 혁명
과제 5) 비판적 문헌읽기
학습목표: 기술과 매체의 발전이 현대 미술의 형식, 감각, 유통 방식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이해한다. 디지털 이미지, 인터랙티브 아트, VR/AR, AI 창작, NFT 등 새로운 기술 기반 미술을 통해 예술의 개념, 창작 주체, 감상의 방식이 어떻게 재정의되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10. 학습법 소개 및 기타사항
온라인으로 강의 진행.
플랫폼을 통해 모든 수강생들이 토론과 평가에 적극 참여할 필요가 있습니다.
11. 장애학생에 대한 학습지원 사항
- 수강 관련: 문자 통역(청각), 교과목 보조(발달), 노트필기(전 유형) 등
- 시험 관련: 시험시간 연장(필요시 전 유형), 시험지 확대 복사(시각) 등
- 기타 추가 요청사항 발생 시 장애학생지원센터(279-2434)로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