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도 2학기 한국근현대사의이해 (HUMN431-01) 강의계획서

1. 수업정보

학수번호 HUMN431 분반 01 학점 3.00
이수구분 교양선택 강좌유형 강의실 강좌 선수과목
포스테키안 핵심역량
강의시간 월, 수 / 15:30 ~ 16:45 / 무은재기념관 강의실 [101호] 성적취득 구분 G

2. 강의교수 정보

이종식 이름 이종식 학과(전공) 인문사회학부
이메일 주소 jongsikyi@postech.ac.kr Homepage https://jongsikchristianyi.com/
연구실 무은재기념관 414 전화 054-279-2036
Office Hours 목요일 10:00-12:00

3. 강의목표

(글로벌시민역량 40%, 지식탐구역량 60%)
이 수업의 목표는 우리 모두가 몸담고 있는 한국 혹은 코리아라는 공동체의 역사적 형성 과정과 현재를 폭넓게 이해하는 것입니다. 수업은 세 파트로 나누어집니다. 첫 번째 파트에서는 강화도조약(1876)부터 오늘날까지의 역사를 통사적으로 개괄합니다. 고등학교 한국사 과정을 복습하고 일부 디테일을 심화적으로 추가함으로써 기본적인 타임라인과 흐름을 짚고 넘어갑니다. 두 번째 파트는 한국사학계에서 첨예한 논쟁을 촉발했던 여러 주제들을 함께 검토합니다. 이러한 논쟁들을 다각도로 살펴봄으로써, 역사(학)에서는 사실/컨텐츠만큼이나 해석/비판/역사인식/역사관이 중요하다는 점을 이해해 보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파트는 우리가 흔히 한국인 혹은 한국사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거나 그 포함 여부가 애매한 사람들을, 그리고 그 사람들이 살았던 시간과 공간을 다룹니다. 이를 통해, 한국, 한국인, 한국사의 테두리가 역사적으로 변하는 것일 수 있음을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지려 합니다. 이 수업을 수강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포스테키안들은 각각이 생각하는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한국/코리아의 정의와 의미, 그리고 그에 대한 역사적 근거를 탄탄하게 갖추게 될 것입니다.

4. 강의선수/수강필수사항

없습니다.

5. 성적평가

출석 10%
조별 발표 20%
중간고사 대체 서평 20%
포스터 20%
기말고사 대체 리포트 30%

6. 강의교재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 출판년도 ISBN

7. 참고문헌 및 자료

*별도의 지정 교재는 없습니다.
*이하는 말 그대로 수업 내용에 참고가 되는 일부 문헌일 뿐입니다. 이 수업은 수강생들에게 이 책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읽을 것을 절대(!) 요구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책들 중 한 권을 택해 중간고사 대체 과제인 서평을 작성합니다.
-손성욱, “사신을 따라 청나라에 가다,” 푸른역사, 2020.
-박차민정, “조선의 퀴어: 근대의 틈새에 숨은 변태들의 초상,” 현실문화, 2018.
-강상중, 현무암 (이목 역), “기시 노부스케와 박정희: 다카키 마사오, 박정희에게 만주국이란 무엇이었는가,” 책과함께, 2012.
-허은, “냉전과 새마을: 동아시아 냉전의 연쇄와 분단국가체제,” 창비, 2022.
-김정자, 새움터 (김현선 엮음), “미군 위안부 기지촌의 숨겨진 진실: 미군위안부 기지촌여성의 최초의 증언록,” 한울, 2020.
-노영기, “그들의 5.18: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푸른역사, 2020.
-도미엔, “붉은 혈맹: 평양, 하노이 그리고 베트남전쟁,” 서울대출판문화원, 2022.
-쑹녠선 (이지영, 이원준 역), “두만강 국경 쟁탈전 1881-1919: 경계에서 본 동아시아 근대,” 너머북스, 2022.
-현무암, 파이차제 스베틀라나 (서재길 역), “사할린 잔류자들: 국가가 잊은 존재들의 삶의 기록,” 책과함께, 2019.

8. 강의진도계획

1주차: 오리엔테이션 (비대면)
-9/5 월: 오리엔테이션 (Zoom 비밀번호: 497049)
https://postech-ac-kr.zoom.us/j/99542479878?pwd=MkVaMVQ5M1FHVW9yWk9zWlZ4aE8xUT09
-9/7 수: “한국”? “근현대”? “사”? (Zoom 비밀번호: 938968)
https://postech-ac-kr.zoom.us/j/95499318857?pwd=N1FiRnJKcHZ3UHkvcThTY0RyQk1Odz09

PART I. 통사적 이해
2주차: 개항기(1876-1910) (비대면)
-9/12 월: 추석 연휴 휴강
-9/14 수: 개항기 주요 사건 연표 정리 (Zoom 비밀번호: 748075)
https://postech-ac-kr.zoom.us/j/92260834617?pwd=UTZnQUF0aTJ0Z0p2RWNTZ01VNHFBZz09
-참고자료: 한국사연구회, “시민의 한국사 2: 근현대편,” 돌베개, 2022, 제6편; 노관범, “껍데기 개화는 가라: 한국 근대 유학 탐史,” 푸른역사, 2022; 손성욱, “사신을 따라 청나라에 가다: 조선인들의 북경 체험,” 푸른역사 2020.

3주차: 식민지 시기(1910-1945)
-9/19 월: (강의) 식민지 시기 주요 사건 연표 정리
-9/21 수: (강의) 식민지 조선의 사회 속으로
-참고자료: 한국사연구회, “시민의 한국사 2: 근현대편,” 돌베개, 2022, 제7편; 장신, “조선·동아일보의 탄생: 언론에서 기업으로,” 역사비평사, 2021; 박차민정, “조선의 퀴어: 근대의 틈새에 숨은 변태들의 초상,” 현실문화, 2018; 강상중, 현무암 (이목 역), “기시 노부스케와 박정희: 다카키 마사오, 박정희에게 만주국이란 무엇이었는가,” 책과함께, 2012; Todd Henry ed., Queer Korea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2020).

4주차: 해방 이후의 남북한
-9/26 월: (강의) 해방 이후 남한사 주요 사건 연표 정리
-9/28 수: (강의) 해방 이후 북한사 주요 사건 연표 정리, 남북관계의 역사 정리
-참고문헌: 한국사연구회, “시민의 한국사 2: 근현대편,” 돌베개, 2022, 제8편; 이규태, “해방 직후 건국준비위원회의 활동과 통일국가의 모색,” 한국근현대사연구 36 (2006); 허은, “냉전과 새마을: 동아시아 냉전의 연쇄와 분단국가체제,” 창비, 2022; 안드레이 란코프 (김수빈 역), “리얼 노스코리아: 좌와 우의 눈이 아닌 현실의 눈으로 보다,” 개마고원, 2013; 표도르 째르치즈스키 저, “김일성 전기,” 한울, 2022.

PART II. 사학사적 쟁점
5주차: 전근대와 근현대의 관계 (발표 slot 1)
-10/3 월: 개천절 휴일
-10/5 수: (발표) 전근대와 근현대
-참고자료: 미야지마 히로시 저, “나의 한국사 공부”, 너머북스, 2013, 제1장과 제 11장; 정다함, “세종 성군 논란을 통해 본 뉴라이트 역사인식의 확산과 한국사 연구의 ‘탈식민’ 문제,” 역사비평 135 (2021); 황경문 (백광열 역), “출생을 넘어서: 한국 사회 특권층의 뿌리를 찾아서,” 너머북스, 2022.

6주차: 식민지 경험과 역사인식 (발표 slot 2)
-10/11 화: (발표) 식민사관, 민족주의 역사관, 식민지 근대화론
-10/12 수: (강의) 근대성/식민성
-참고자료: 정준영,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와 조선 연구: 지양으로서의 조선, 지향으로서의 동양,” 사회평론, 2022, 제1장; 김정인, “식민사관 비판론의 등장과 내재적 발전론의 형성,” 사학연구 125 (2017); 정태헌, 박찬승 등 저,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뉴라이트 역사학의 반일종족주의론 비판,” 푸른역사, 2020; 배성준, “한국 근대 공업사 1876~1945,” 푸른역사, 2022; 김두진, “한국 ‘식민지 근대화’ 논쟁과 ‘근대성’ 인식의 재검토: 근대성 개념의 간학문적 논의를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62.4 (2019); 차승기, “가지무라 히데키(梶村秀樹)의 ‘미발의 계기’,” 아세아연구 55.3 (2012); 강동조, “탈식민주의 담론: 라틴아메리카에서 바라 본 ‘근대성/식민성’과 ‘글로벌 히스토리,’” 역사와경계 97 (2015).

7주차: 개발독재와 민주화 (발표 slot 3)
-10/17 월: (발표) 박정희 시대의 개발독재와 민주화
-10/19 수: (강의) 전두환 시대의 개발독재와 민주화
-참고자료: 김영미, “그들의 새마을 운동: 한 마을과 한 농촌운동가를 통해 본 민중들의 새마을운동 이야기,” 푸른역사, 2009; 정진아, “한국경제의 설계자들: 국가 주도 산업화 정책과 경제개발계획의 탄생,” 역사비평사, 2022; 한홍구, “유신: 오직 한 사람을 위한 시대,” 한겨레출판, 2014; 노영기, “그들의 5.18: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푸른역사, 2020.

Week 8. 중간고사 기간

9주차: 북한사와 통일 문제 (발표 slot 4)
-10/31 월: (강의 세계 속의 북한
-11/2 수: (발표) 남북 통일
-참고자료: 션즈화, “최후의 천조: 모택동, 김일성 시대의 중국과 북한,” 선인, 2017; 도미엔, “붉은 혈맹: 평양, 하노이 그리고 베트남전쟁,” 서울대출판문화원, 2022; 임동원, “피스메이커: 남북관계와 북핵문제 25년,” 창비, 2015

10주차: 한미관계 (발표 slot 5)
-11/7 월: (발표) 한미 관계의 다면성
-11/9 수: (강의) 미국 기지촌 이야기
-참고자료: 박태균, “우방과 제국, 한미관계의 두 신화,” 창비, 2006; 역사비평 편집위원회, “갈등하는 동맹: 한미관계 60년,” 역사비평사, 2010; 캐서린 문 (이정주 역), “동맹 속의 섹스,” 삼인, 2002; 김정자, 새움터 (김현선 엮음), “미군 위안부 기지촌의 숨겨진 진실: 미군위안부 기지촌여성의 최초의 증언록,” 한울, 2020.

11주차: 한중관계 (발표 slot 6)
-11/14 월: (발표) 근현대 한중관계사
-11/16 수: 휴강 – 담당교수 미국과학사학회 출장 (보강 일정 추구 공지)
-참고자료: 오드 아르네 베스타 (옥창준 역), “제국과 의로운 민족: 한중 관계 600년사,” 너머북스, 2022; 구선희, “조선을 근대 식민지로 만들려 했던 중국인 위안스카이,” 역사비평 86 (2009); 배경한, “쑨원과 한국: 중화주의와 사대주의의 교차,” 한울, 2007; 님 웨일즈, 김산 (송영인 역), “아리랑: 조선인 혁명가 김산의 불꽃 같은 삶,” 동녘, 2005; 윤은자, “1932-1937년 김구의 난징 행적,” 중국근현대사연구 84 (2019).

PART III. 이질적인 “코리아”
12주차: 일본 열도와 코리안 (발표 slot 7)
-11/21 월: 휴강 – 담당교수 미국과학사학회 출장 (보강 일정 추구 공지)
-11/23 수: (발표) 자이니치
-참고자료: 윤건차 (박진우 등 역), “자이니치의 정신사,” 한겨레출판, 2016; 현무암, 파이차제 스베틀라나 (서재길 역), “사할린 잔류자들: 국가가 잊은 존재들의 삶의 기록,” 책과함께, 2019; 드라마 “빠친코”(2022).

13주차: 중국 대륙과 코리안 (발표 slot 8)
-11/28 월: (강의) 조선족의 역사
-11/30 수: (발표) 한국과 세계 속의 조선족
-참고자료: 쑹녠선 (이지영, 이원준 역), “두만강 국경 쟁탈전 1881-1919: 경계에서 본 동아시아 근대,” 너머북스, 2022; 염인호, “연변조선족자치주 건립에 관한 일 연구: 만주 각지 및 북한 출신 조선인 ‘건주부(建州父)’들의 활동과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총 53 (2020); 강창록 등, “주덕해,” 실천문학사, 1992; 신혜란, “우리는 모두 조선족이다,” 이매진, 2016.

14주차: 중앙아시아 및 미주와 코리안 (발표 slot 9)
-12/5 월: (강의) 고려인
-12/7 수: (발표) 미주 한인
-참고문헌: 홍웅호 외, “러시아지역 해외한인연구 1,” 선인, 2019; 윤상원, “현대 고려인 인물 연구8,” 선인, 2022; 반병률, “홍범도 장군,” 한울, 2019; 영화 “헤로니모”(2019); 캐서린 김 (강미경 역), “인종주의의 덫을 넘어서: 혼혈 한국인, 혼혈 입양인 이야기,” 뿌리의집, 2020

15주차: 아시아의 코리안, 한국의 아시안 (발표 slot 10)
-12/12 월: (발표) 아시아의 코리안, 한국 속의 아시안
-12/14 수: (강의) 포용적인 “한국” “근현대” “사”를 위하여
-참고문헌: 김홍구 등, “동남아 한인 연구 총서 8: 동남아시아 한인,” 눌민, 2022; 우춘희, “깻잎 투쟁기: 캄보디아 이주노동자들과 함께한 1500일,” 교양인, 2022; 한인정, “어딘가에는 싸우는 이주여성이 있다,” 포도밭출판사, 2022.

Week 16. 기말고사 기간

9. 수업운영

-중간고사, 기말고사는 별도로 치르지 않습니다
-파트2와 파트3의 일부 주제를 대상으로 조별 발표(20%)를 진행합니다. 수강인원이 확정된 이후 구체적인 조 편성과 발표 주제를 결정합니다.
-8주차 금요일까지 중간고사 대체 서평 과제(20%)를 제출합니다. A4용지 기준 약 2장 분량.
-12주차 금요일까지 파트2의 쟁점 가운데 하나를 택해 여러 견해, 근거, 의도, 함의 등을 정리한 포스터(20%)를 제작하여 제출합니다.
-16주차 금요일까지 A4 용지 기준 약 5장 분량의 기말 리포트(30%)를 다음 주제에 대해 작성하여 제출합니다. “내가 생각하는 한국/코리아 공동체란 무엇이며, 향후 나의 과학적, 공학적, 의학적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이 공동체를 위해 어떤 유의미한 일을 하고 싶은가?”

10. 학습법 소개 및 기타사항

11. 장애학생에 대한 학습지원 사항

- 수강 관련: 문자 통역(청각), 교과목 보조(발달), 노트필기(전 유형) 등

- 시험 관련: 시험시간 연장(필요시 전 유형), 시험지 확대 복사(시각) 등

- 기타 추가 요청사항 발생 시 장애학생지원센터(279-2434)로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