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 1학기 과학커뮤니케이션 (CMST402-01) 강의계획서

1. 수업정보

학수번호 CMST402 분반 01 학점 3.00
이수구분 교양선택 강좌유형 강의실 강좌 선수과목
포스테키안 핵심역량
강의시간 화, 목 / 14:00 ~ 15:15 / 무은재기념관 강의실 [304호] 성적취득 구분 G

2. 강의교수 정보

김기흥 이름 김기흥 학과(전공) 인문사회학부
이메일 주소 edinkim@postech.ac.kr Homepage http://hss.postech.ac.kr/
연구실 전화 279-2022
Office Hours 월수목 13:00-14:00; 16:00-17:00

3. 강의목표

The course offers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public commun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ents will be made familiar with cultural-scientific analyses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interplay with social,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processes of change. In particular, environmental problems, public health issues, scientific research-in each of these areas, communication plays a fundamental role. From the media to individual conversations, from technical journals to textbooks, from lab notes to the web, communication helps define scientifically based social issues and research findings. This course examines the institutional and intellectual contexts, processes, and practical constraints on communication.

4. 강의선수/수강필수사항

5. 성적평가

Midterm report: 30%
Final report: 30%
Group Presentation: 30%
Attendance and participation: 10%

6. 강의교재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 출판년도 ISBN
두얼굴의 과학 제인 그레고리 지호 2001 8986270471
과학저널리즘의 이해 진달용 한울 2015 9788946057876
사회와 소통하는 과학글쓰기 오철우 소통과 공론연구소 2020

7. 참고문헌 및 자료

Martin Bauer & Massimiano Bucchi. 2007. Journalism, Science and Society, London: Routledge
Bruce Lwenstein et al. 1992. When Science meets the public. Committee on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Peter Bennett et al. 2010. Risk Communication and Public Health. Oxford University Press

8. 강의진도계획

Week 1. Introduction to science in public
개요 - 대중에게 과학은 무엇인가?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참고문헌: 김동광 (2014) '대중의 과학이해: 일반인이 읽는 과학기술' 한국과학기술학회 (편) 과학기술학의 세계 (휴먼사이언스): 177-210
Week 2. Thinking about scientists and engineers in popular culture
개요:
(1) 대중들에게 과학자와 공학자는 어떻게 이해되는가?
(2) 대중문화에 나타나는 과학공학자
참고문헌: 스티븐 이얼리 (2018) 과학학이란 무엇인가 (그린비)
Week 3. Unblack-boxing Steve Jobs
개요:
(1) 대중에게 각인된 스티브 잡스의 신화와 애플컴퓨터 개발에 대한 이해.
(2) 영화 에 그려지는 스티브 잡스의 이미지와 재현을 통해 과학기술적인 혁신이 어떻게 대중들에게 받아들여지는가에 대한 논의
영화:
Week 4. The public for science: how to translate expert knowledge to the public
개요:
(1) 과학과 대중의 관계에 대한 이해.
(2) 일반인 전문가 (Lay Experts)의 형성
참고문헌: 박희제 (2009) '미국산 쇠고기 파동과 대중의 위험인식의 합리성' 현상과 인식 33 (4): 91-116
홍성욱 (2014) '예술을 바꾸는 기술, 기술을 바꾸는 예술' 인문학 논총 34: 39-67
Week 5. Science journalism: prospects in the digital age
개요:
(1) 과학글쓰기는 무엇인가?
(2) 글쓰기를 통해 어떻게 과학을 대중에게 알릴 수 있는가?
(3) 대중은 글을 통해 어떻게 과학기술을 이해하는가?
참고문헌:
진달용 (2015) 과학 저널리즘의 이해 (한울)
Week 6. Midterm
Week 7. Selling Science
개요:
(1) 과학의 상업화와 현대사회에서 과학의 의미
(2) 대중매체와 과학의 상업화
참고문헌: 도로시 넬킨 (1995) 셀링 사이언스: 언론은 과학기술을 어떻게 다루는가? (궁리)
로리 앤드류스 & 도로시 넬킨 (2006) 인체시장: 생명공학시대 인체조직의 상품화를 파헤친다 (궁리)
Week 8. Framing Science and Technology
개요:
(1) 과학 커뮤니케이션에서 '프레임' 이론에 대한 이해
(2) 옥시 가습기소독제 사건을 통해 나타나는 각기 다른 프레임이론
참고문헌: 조지 레이코프 (2014) 코끼리는 생각하지마 (와이즈베리)
Week 8.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개요:
(1) 과학의 대중적 이해라는 개념이 왜 제기되었는가?
(2) 영국 광우병 사태를 통한 과학의 대중적 이해에 대한 논의
참고문헌: 제인 그레고리 & 스티브 밀러 (2001) 두 얼굴의 과학 - 과학은 대중과 어떻게 커뮤니케이션하는가? (지호)
Week 9. Risk, science and public communication
개요:
(1) 위험사회에 대한 이해 -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관계 이해
(2) 위험커뮤니케이션은 무엇인가?
참고문헌: 김영욱 (2014) 위험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북스)
Week 10. Risk communication in practice
개요:
(1) 실제 사례를 통한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논의
(2) 황우석 사건에서 언론의 역할은 무엇이었는가?
(3) 포항지진과 같은 재난에 대한 언론보도의 특징
참고문헌: 한학수 (2006) 진실, 그것을 믿었다 - 황우석 사태 취재파일 (사회평론)
Week 11. Pop Science
개요:
(1) 온라인을 통한 과학지식의 전파
(2) 유투브와 팟케스트를 통한 과학 커뮤니케이터의 확산현상
참고문헌: 과학기술정책 읽어주는 남자들 (2018) 과학기술의 일상사 - 맹신과 무관심 사이, 과학기술의 사회생활에 관한 기록 (에디토리얼)
Week 12. Hollywood Science - SF and Sociotechnological Imaginaries
개요:
(1) 과학기술 발전에서의 상상력의 역할
(2) SF적 상상력과 헐리우드 사이언스
참고문헌: Jasanoff and Kim (2015) Dreamscape of Modern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Week 13. Practising Science Communication
개요:
팟캐스터, 과학 유투버 그리고 과학기자의 목소리 듣기

9. 수업운영

강의 및 그룹발표

10. 학습법 소개 및 기타사항

11. 장애학생에 대한 학습지원 사항

- 수강 관련: 문자 통역(청각), 교과목 보조(발달), 노트필기(전 유형) 등

- 시험 관련: 시험시간 연장(필요시 전 유형), 시험지 확대 복사(시각) 등

- 기타 추가 요청사항 발생 시 장애학생지원센터(279-2434)로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