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 2학기 사회과학과 데이터분석 (PSDS501-01) 강의계획서

1. 수업정보

학수번호 PSDS501 분반 01 학점 3.00
이수구분 전공필수 강좌유형 강의실 강좌 선수과목
포스테키안 핵심역량
강의시간 화 / 14:00 ~ 17:00 / 성적취득 구분 G

2. 강의교수 정보

배영 이름 배영 학과(전공) 인문사회학부
이메일 주소 youngbae@postech.ac.kr Homepage
연구실 무은재기념관 411호 전화 054-279-2027
Office Hours

3. 강의목표

사회과학은 근대사회와 함께 출현한 학문 분과이다. 19세기 초기에는 정치경제학(political economy)이란 명칭으로 불렸다가 19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오늘날과 같은 학문분과로 분화되었다. 사회과학은 사회질서의 근거와 구조, 인간행동과 심리, 국가와 시민사회, 정치체제의 변동, 경제현상 등의 본질을 두루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인간과 사회의 관계가 가장 중요한 연구대상이라 하겠다. 이 강의에서는 사회과학의 중요한 쟁점과 이론, 사상을 검토하면서 각 주제들이 어떻게 데이터분석과 연결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20세기 사회과학은 사상과 이론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지만, 21세기에는 사회과학적 연구를 데이터와 연결해 실증적 근거와 분석을 내놓는 것이 주류가 될 전망이다. 그것은 AI, IT문명의 발전과 맥을 같이 한다. 모든 주제와 대상을 데이터화한다! 이것이 21세기 사회과학의 핵심적 관심이다. 데이터로 말한다는 것은 실증과학의 장점이기도 하지만, 20세기 사회과학이 표본데이터를 주로 사용한 데에 비해 21세기 사회과학은 대량데이터, 무작위 데이터를 사용해 유의미한 명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든 사회과학 분야를 섭렵하기는 어려운 현실에서 사회과학의 주요 주제에 대한 강의를 중심으로 연구대상을 데이터화해 분석하는 사례를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에 초점을 둔다.

4. 강의선수/수강필수사항

강의계획서 중 1/4 정도가 수정될 예정임

5. 성적평가

출석 - 10%
에세이 - 40%
중간고사 - 25%
기말고사 - 25%

6. 강의교재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 출판년도 ISBN

7. 참고문헌 및 자료

- 송호근, 서병훈 (편), 始原으로의 回歸, 나남, 1999.
- 송호근, “역사의 패러독스,” 市場과 이데올로기, 문학과 지성사, 1992.
- 김용학, 사회구조와 행위, 나남, 1992.
- John Locke, Two Treaties of Government,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0, "Two Treaties of Government and the Revolution of 1688," “The social and political theory of Two Treaties of government,"and pp.141-170, pp.267-428.
- J.J. Rousseau, On Social Contract, Rousseau's Political Writings, New York:

자세한 사항은 "강의진도계획" 각 주차 참고

8. 강의진도계획

1주 (2/23~2/25) Orientation, 사회과학이란 무엇인가?

critical essay용 필독: 1 2, 혹은 2 3
(1)송호근, 서병훈 (편), 始原으로의 回歸, 나남, 1999.
(2)송호근, “역사의 패러독스,” 市場과 이데올로기, 문학과 지성사, 1992.
(3)김용학, 사회구조와 행위, 나남, 1992.
김호기(편), 현대사회사상의 흐름,
---------------
Pierre Bourdieu and James Coleman (eds.), Social Theory for A Changing
Society, Boulder: Westview Press, 1991
Jeffrey Alexander, Twenty Lectures: Sociological Theory Since World War II,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7 (이윤희 (역), 현대사회이론 의 흐름, 한국사회학연구소, 민영사, 1993.
Jeffrey C. Alexander, Theoretical Logic in Sociology 4 Vol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Jeffrey C. Alexander et al (eds.), The Micro-Macro Link,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7.
Anthony Giddens, Social Theory and Modern Sociology,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7.
Robert Nisbet, The Sociological Tradition, London: Heinemann, 1966, "Two
Revolutions"
Geoffrey Hawthorn, Enlightenment and Dispair: A History of Sociology
S.H. Hughes, Consciousness and Society,󰡔의식과 사회󰡕; The Obstructed Path
󰡔현대프랑스지성사󰡕 (김병익 역, 문학과 지성사); The Sea Change.󰡔지성의
대이동󰡕 (김창희 역, 한울)
김일철, 사회구조와 행위, 경문사, 1984.
Raymond Boudon, The Unintended Consequence of Social Action, "Sociology
and Freedom," "Social Determinism and Individual Freedom," 1982.
(무질서의 사회학적 위치, 민문홍 역, 교보문고, 1-2장).
Martin Jay, Marxism and Totality, London: Polity Press, 1984.
민음사, 사회철학
Song, Ho Keun, "Durkheim's Alternative to Socialism," Mimeo, 1986.
Friedrich Tenbruck, 막스 베버의 사회과학 방법론, (차성환 편역, 문학과 지성사,
1990).





2주 (3/2~3/4) Lessons from Classics, 정부(국가), 시민사회, 개인

필독: 1,2,3 중 한권

(1) John Locke, Two Treaties of Government,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0, "Two Treaties of Government and the Revolution of 1688," “The social and political theory of Two Treaties of
government,"and pp.141-170, pp.267-428.
(2) J.J. Rousseau, On Social Contract, Rousseau's Political Writings, New York:
W.W. Norton& Company, 1988, pp.1-173.
(3) Hegel, The Philosophy of Right,

[Thomas Hobbs, Leviathan, The Penguin English Library, 1981, pp.223-293,
pp.311-334, pp.395-408.]

초점: 개인, 사회, 국가의 이론적 정의, 천부인권의 개념


3주 (3/9~3/11) A. Tocqueville의 시민사회론

필독: 1 2, 혹은 3 2, 4 2
(1) 임효선, 박지동 역, 미국의 민주주의, 한길사
A. Tocqueville, Democracy in America, New York: Anchor Books, 1969,

노재봉, 시민민주주의: 토크빌 연구, 박영사, 1975.
신문수, “알렉시스 드 토크빌,” 사회비평, 16호.
송호근, 한국의 평등주의, 삼성경제연구소.

(2) 송호근, 시장과 이데올로기, 1,2,4장. “역사의 패러독스”, 1992, 문학과 지성사

(3)Karl Marx, Economic and Philosophic Manuscript
__________, German Ideology
__________, The Communist Manifesto
__________, 혁명의 삼부작 (프랑스의 계급투쟁, 브뤼메르 18일, 프랑스혁명)
(4)__________, 자본론 (김수행 역, 자본론 (상, 하), 비봉출판사)

4주 (3/16~3/18) 근대사회의 태동

필독: 1 혹은 2

M. Weber, Protestant Ethics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1) E. Durkheim, The Social Division of Labor (번역본)
____________, Civic Ethics and Moral Education
________________, 자살론
R. Bellah (ed.), On Morality and Society, 1973.
Giddens의 현대사회이론
Raymond Aron의 해석
민문홍, 사회과학과 도덕과학, 교보문고, 1995.
(2)______, 에밀 뒤르켕의 사회학, 민음사, 2001.


5주 (3/23~3/25) 배영교수 특강, 사회과학과 데이터사이언스

필독: 장대익, 차주항, 장덕진교수 논문, 『문명과 경계』, 3호, 2020
배영, 한국일보 기획칼럼

● 사회과학에 대한 Free Discussion


6주 (3/30~4/1)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es (복지국가론)

필독: 3 1, 3 2

(1) 송호근, 시장과 복지정치, 나남, 1997
(2) 박근갑, 복지국가 만들기, 문학과 지성사, 2009.

(3) Esping-Andersen, Goesta,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Chp 1,2
T.H. Marshall, Citizenship and Social Class," in Class, Citizenship, and Social
Development, Garden City, N.Y. Anchor Books, 1965.
Pierson, Christopher, Beyond the Welfare State? The New Political Economy of
Welfare, Cambridge: Polity Press, 1998. Chpts, 4,5,6. Conclusion.
-----------------
Peter Flora and Arnold Heidenheimer (eds.),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es in
Europe and America, New Jersey: Transaction Inc, 1981.
T. Skocpol and E. Amenta, "State and Social Policies," Annual Review of Sociology,
12, 1986.

7주 (4/6~4/8) The Crisis of Welfare State

필독: 3 1, 3 2

(1) 송호근, 세계화와 복지국가, 나남, 2001
(2) 송호근, 홍경준, 복지국가의 탄생? 나남, 1부
(3)Esping-Andersen, Goesta (ed.), Welfare States in Transition: National Adaptations
in Global Economies (London: Sage Publications, 1996). 1장
Glatzer, Miguel and Dietrich Rueschemeyer (eds.), Globalization and the Future of
the Welfare State (Pittsburgh: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05).
Chapters 1,2,3,4,6,9.
Pierson, Paul, "The New Politics of the Welfare States," World Politics, Vol.48, No. 2
(Jan. 1996).
_____________, The New Politics of the Welfare Stat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Fligstein, Neil, “Is Globalization the Cause of the Welfare States?” paper prepared
for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held in
Toronto, Canadain August 1997.

8주 (4/13~4/15) 사회과학적 문제의식/주제의 데이터화(化)
mid-term paper, A4 4~5매. 4월 19일 자정까지 제출

9주 (4/20~4/22) Labor Market Policy and Unemployment

필독: 1 혹은 2

(1)송호근, 이분법 사회를 넘어서, 2012.
(2)김연명 (편), 사회투자와 한국 사회정책의 미래, 나눔의 집, 2010.
Gilbert, Neil, “The Market Economy and Productive Welfare: Korea’s Enabling
State,”in op.cit.
Chung, Kyungbae (ed.), Sharing Productive Welfare Experience.
Yoo, Kil-Sang et als, “Labor Market Trends and the Employment Insurance System
in Korea,” in Yoo, Kil-Sang and Jiyeun Chang (eds.),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nd Unemployment Insurance in Selected Countries (Seoul: Korea
Labor Institute, 2002).
Lee, Won-Duck, “Assessing the Role of Korean Employment Insurance and Work
Injury as a Social Safety Net,” in Chung, Kyungbae (eds.), Sharing
Productive Welfare Experience.

10주 (4/27~4/29) Health Care and Health Insurance

● Institutional design of health insurance
● Reform politics and interest conflict, doctor’s strike
● NGOs in policy-making process and Democracy

필독: 3 1, 3 2

(1)송호근, 의사들도 할 말 있었다, 삼성경제연구소, 2001.
(2)송호근, 선진국의 의료정책과 구조조정: 영국, 독일, 미국, 대한의사협회, 2002.
송호근, 한국의 의료체제: 제도와 지배구조, 서울대 출판부, 2006.
Bidet, Eric, “Social Protec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Social Insurance and Moral
Hazard,”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Review Vol. 57.
(3)Giaimo Susan, Markets and Medicine: The Politics of Health Care Reform in
Brita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2). 영국과 독일사례
Kim Kyung Hee, “A Frame Analysis of Women’s Policies of Korean Government
and Women’s Movements in the 1980s and 1990s,” Korea Journal (Summer
2002), pp. 5-35.

11주 (5/4~5/6) 보건정책과 데이터분석 (조원광 서울대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 의료정책과 데이터
● 조제약 데이터, 처방전, 병력
과제는 추후 알림

12주 (5/11~5/13) Democracy, CSMs, and Social Capital

필독: 1 2, 2 3
Norris Pippa, Democratic Phoenix: Reinventing Political Activis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 Robert Putnam (안청시 역), Making Democracy Work (사회적 자본과 민주주의),
박영사, 2000.
________________, Bowling Alone
_________________ (ed.), Democracies in Flux: The Evolution of Social Capital
in Contemporary Societie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에릭 리우 (김문주 역), 민주주의의 정원, 웅진지식하우스, 2017.
(2) Skocpol, Theda (강성훈 역), Diminished Democracy (민주주의의 쇠퇴), 한울, 2010.
(3) 러셀 달톤(서유경 역), 시민정치론, 아르케

13주 (5/185~5/20) 민주주의의 위기

필독: 3 1, 3 2

(1) 스티븐 레비츠키 외 (박세연 역),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 어크로스, 2020
(2) 야스챠 뭉크 (함규진 역), 『위험한 민주주의』, 와이즈베리, 2018
데이비드 런시먼 (최이현 역), 『쿠데타, 대재앙, 정보권력』, 아날로그, 2020.
(3) Larry Diamond, “Iliberal, Nativist Populism: Is Economic Insecurity Cause?”
https://diamond-democracy.stanford.edu/speaking/speeches/


14주 (5/25~5/28) 사회적 신뢰, 사회적 자본, 데이터분석 (이재열 서울대교수)
과제는 추후 공고

15주 (6/1~6/3)

필독: 아래 책
Shoshana Zuboff, Surveillance Capitalism, (감시자본주의 번역본?)
송호근, 번역본 서문.

16주 (6/8) 사회과학의 데이터화, 페이퍼주제 토론

Term Paper due to 26 June. A4 8~10매.

9. 수업운영

(1) 강의시간에 A4 3~4매 분량의 critical review를 작성해서 토론. 시간이 흐를수록 필독도서를 읽는 열의가 떨어지는 것이 보통인데, 대학원 과정에서의 독서량과 향후 연구능력은 비례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주기 바람.
(2) 강의를 1 시간 ~ 1시간 30분 정도 진행하고 토론함
(3) 강의 후 지정 발표자가 간략히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발제를 하고 토론을 진행함

10. 학습법 소개 및 기타사항

11. 장애학생에 대한 학습지원 사항

- 수강 관련: 문자 통역(청각), 교과목 보조(발달), 노트필기(전 유형) 등

- 시험 관련: 시험시간 연장(필요시 전 유형), 시험지 확대 복사(시각) 등

- 기타 추가 요청사항 발생 시 장애학생지원센터(279-2434)로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