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강의목표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시스템 및 P2P 네트워크를 아우르는 통섭적 학문 분야이며, 최근 DeFi 및 NFT, 그리고 게임 및 Web3.0 서비스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교과목을 통해 기존 웹 서비스와 유사한 성능을 지원하기 위해 필수적인 블록체인 확장성 기술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학습하고, 관련 연구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Web2.0에서 Web3.0 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IT 환경에 대해 선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블록체인 플랫폼은 사용자 트랜잭션 처리를 위해, (1) 사용자 지갑 (2) 트랜잭션 및 블록 전송 프로토콜 (3) 블록 합의 프로토콜 (4) 트랜잭션 실행 및 상태 정보 구성 등의 단계가 진행된다. 본 과목에서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한 기본적 지식을 학습하고, 최신 논문들을 기반으로 특히 Layer1 확장성 기술과 Layer 2 확장성 기술을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학습하고, 현재 가장 높은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최신 합의 알고리즘 BullShark source code 분석을 통해 실제 내용을 배운다. 아울러 구체적인 블록체인 응용 서비스 개발을 통해 개발 및 관리 도구를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금융분야, 공급망분야, 자동차 분야, 헬스케어 분야 등을 중심으로 주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에 대한 개념을 익힌다.
5. 성적평가
퀴즈 (20%)
발표 (40%)
과제물 (40%)
7. 참고문헌 및 자료
주요 학술지 및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
주요 블록체인 플랫폼 white papers
8. 강의진도계획
1주 : 블록체인 기초
2주 ~ 3주 : 블록체인 구성 요소별 동작 (사용자 지갑, 네크워크 전송, 합의, 실행 및 상태정보)
4주 ~ 5주 : Layer 1 합의 프로토콜 연구 분석 – PBFT, HotStuff, DAG 기반 등
6주 ~ 7주 : Layer 2 확장성 기술 연구 분석 – Lightning Network, zkRollup / 텀프로젝트 proposal
8주 ~ 10주 : Layer 1 DAG 기반 합의 프로토콜 BullShark code 분석
11주 : 블록체인 응용 개발 도구 및 서비스 정리 / 텀프로젝트 중간 발표
12주 ~ 15주 : 최신 연구 논문 발표
16주 : 텀프로젝트 최종 발표
9. 수업운영
이론강의, 발표, 토론, 텀프로젝트
11. 장애학생에 대한 학습지원 사항
- 수강 관련: 문자 통역(청각), 교과목 보조(발달), 노트필기(전 유형) 등
- 시험 관련: 시험시간 연장(필요시 전 유형), 시험지 확대 복사(시각) 등
- 기타 추가 요청사항 발생 시 장애학생지원센터(279-2434)로 요청